본문 바로가기
투자

한달 예금 활용하기

by 저녁햇살 2025. 3. 25.

적금 만기 또는 부동산 잔금같은 목돈이 생겼을때 어떻게 할지 처음에는 난감합니다.
다시 적금에 넣어두기엔 1년이라는 긴 시간을 기다리기가 부담스럽습니다.

입출금 통장에 그대로 두자니 이자가 너무 적어서 아쉽습니다.

이런 경우 저는 1개월 단위로 예금 상품에 넣어두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금에 넣어두기

대부분 은행의 금융상품에는 적금도 있지만 예금도 있습니다.

예금은 목돈을 넣어두는 용도로 주로 사용하는데, 가입 기간을 최소 1개월부터~ 설정할 수 있습니다.

1개월 단위로 가입/재가입을 반복해서 운용하면, 급하게 돈을 사용해야 할때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모바일뱅킹을 사용하기 때문에 은행에 가지 않고 예금 상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새마을 금고를 예를 들어 찾아보겠습니다. 

모바일뱅킹에 접속하면 "금융상품" 메뉴를 클릭하면, "예적금" 상품을 클릭합니다.

 

금융상품
금융상품

 

예적금 상품 중에 "정기예금"을 보면 여러가지 예금 상품이 나옵니다.

이 중에서 하나씩 살펴보면서 가입 기간이 1개월부터 시작되는 상품에 가입하면 됩니다.

 

정기예금
정기예금

 

예금에 넣어두기

1개월 단위로 넣어두는 방식과 12개월 단위로 넣어두면 이자에 차이가 있을지 궁금하네요.

엑셀을 띄워서 계산해 봤습니다.

 

예금 상품을 12개월 만기로 가입하면 세전 이자가 약 116만원이 발생하네요.

 

12개월-예금
12개월-예금

 

예금 상품을 1개월 단위로 이자까지 반복해서 가입하면 세전 이자가 약 117만원이 발생하네요.

1개월-예금
1개월-예금

 

1개월 단위로 예금/이자를 가입하는 방식이나, 12개월 묶어두는 예금 방식이나.

이자로 받는 금액에는 큰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다만 12개월 예금은 12개월 동안 목돈이 묶여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물론 중도해지하면 됩니다),

1개월 예금은 급하게 돈을 사용해야 할 때를 대비하기에 장점이 있습니다.

 

목돈을 1~2개월 정도 보유하고 있다면 유용하게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킹형 ETF  (1) 2025.05.01
배당주로 포트폴리오 균형잡기  (2) 2025.04.16
퇴직연금 포트폴리오 추천 - 신문스크랩  (0) 2025.02.18
비즈니스 사이클 (Business cycle)  (0) 2025.02.07
미래에셋 어플 포트폴리오  (1) 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