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같은 개인 연금계좌를 만들면 계좌를 만든 증권회사에서는 연금 교육자료나 투자 교육 자료를 보내줍니다. 무관심하게 지나칠 수 있는 내용이기도 한데, 자산군별로 대표적인 ETF 상품도 소개를 하고 있어서 ETF를 찾을 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연금 투자 가이드의 추천 ETF
24년 4월호로 받은 미래에셋증권의 "개인연금 투자가이드" 내용에서 포트폴리오 구성에 참고할 수 있는 추천 ETF 내용을 들여다 보겠습니다.
시장 전망에 대해서 설명해 주는 내용에서 개인적으로 참고할 만한 내용은 지금이 채권투자의 적기라고 하네요. 신흥국 채권 투자(인도/브라질 채권)의 고금리가 매력적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른 내용 (자산배분 투자 선호도,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비중)은 건너뛰고 "투자가능 상품 소개" 에서 어떤 ETF 상품을 추천하고 있는지 살펴 보았습니다.
투자가능한 ETF로 지수추종 ETF와 반도체, AI, 채권(단기), 대체자산 이 있었습니다.
미래에셋의 투자 가이드라서 TIGER ETF 가 주로 나옵니다. 하지만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 종류별로 ETF 자산 규모나 보수를 비교해보고 싶어서, 예전에 작성한 국내 ETF 조회하는 방법을 통해서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S&P500 지수 ETF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를 자산규모와 보수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산 규모가 가장 큰 ETF는 "TIGER 미국S&P500" 이고, 보수가 가장 낮은 ETF 는 "KBSTAR 미국S&P500"와 "KOSEF 미국S&P500" 2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산규모가 너무 작지 않고 총 보수가 가장 적은 ETF를 고르는 것이 투자자 입장에서는 좋습니다.
AI 관련 ETF
AI 관련 주식을 추종하는 국내 ETF도 자산규모와 보수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산 규모는 "TIMEFOLIO 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가 가장 크고, 총 보수도 0.8%로 가장 높습니다. 하지만 높은 보수에 비해서 3개월 수익률이 다른 ETF에 비해서 월등히 높네요.
회사채
A+이상 회사채를 추종하는 국내 ETF는 보수를 비교해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수익률도 0.1~0.3%정도의 차이만 있어서 어떤 ETF를 고르더라도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