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 이해

by 저녁햇살 2024. 1. 17.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 이해

영구 포트폴리오는 해리 브라운(Harry Browne)이 개발한 투자 전략으로, 주식, 채권, , 현금 등 네 가지 주요 자산 클래스에 균형을 맞춰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이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경제 환경에서 안정성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영구 포트 폴리오 (Permanent Portfolio) 정의

Permanent Portfolio는 해리 브라운(Harry Browne)이 개발한 투자 전략으로, 그의 책인 "Fail-Safe Investing: Lifelong Financial Security in 30 Minutes" (1999)에서 소개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Browne은 영구 포트폴리오 전략을 제시하면서 자신만의 투자 철학과 전략에 대한 관점을 설명합니다.


이 전략은 주식, 채권, 금, 현금 등 네 가지 주요 자산 클래스에 균형을 맞춰 투자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합니다. 주식은 경기 성장을 대표하며, 채권은 디플레이션 대비 안전자산으로, 금은 통화 가치 하락 대비 보호자산으로, 현금은 유동성을 확보하여 언제든지 투자 조정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이 포트폴리오는 각 자산 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적어 다양한 경제 상황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서로 성격이 다른 자산에 분산하여 투자하므로, 시장의 변동에 상대적으로 견고한 수익률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영구 포트 폴리오 (Permanent Portfolio) 의 원리

1) 자산 클래스 분배 (ETF 예시)

주식, 채권, , 현금 등 여러 자산 클래스에 투자하여 리스크를 분산합니다.

자산-분배-ETF예시
자산-분배-ETF예시

 

주식 (Stocks)

주식은 경제 성장을 기대하는 자산으로 대/내외적인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높을 수있습니다.

 

금 (Gold)

금은 경제 위기 상황에서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며, 통화 가치 하락에 대한 헤지(Hedge) 역할을 합니다.

 

채권 (Bonds)

채권은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고,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는 안전자산입니다.

 

현금 (Cash)

현금은 안전자산 중 하나로, 특히 경기 하강 시 현금 보유는 아주 중요합니다.

 

2) 저 리스크 투자 전략

각 자산 클래스 간의 상관 관계를 낮추어 시장 변동성에 대비합니다. 즉, 각 자산이 미래의 알수 없는 서로 다른 경제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확보하여 포트폴리오가 더욱 견고 해집니다.

 

3) 장기 투자 전략과 리밸런싱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추구하며, 주기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원래의 비중을 유지합니다.

 

Permanent Portfolio의 적용 방법

1) 투자자는 각 자산 클래스에 대해 일정한 비중을 유지하며 투자합니다. (주식, 채권, 금, 현금을 각각 25%씩)

2) 정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하여 각 자산의 비중을 원래의 목표에 맞게 조절합니다.

3)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주식, 채권, 금, 현금의 비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위의 방법을 적용하여 아래 4가지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 시장

한국의 대표적인 주식 지수에 투자하여 주식 비중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ETF나 주식 펀드를 통해 투자할 수 있습니다. 자산 비중은 25%로 설정합니다.

 

금 종목의 ETF 등을 통해 투자할 수 있습니다. 자산 비중은 25%로 설정합니다.

 

국내 채권 시장

국내 채권 ETF나 국채 종목을 포함한 펀드를 통해 채권 비중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자산 비중은 25%로 설정합니다.

 

현금 보유

현금 비중은 은행 예금, 단기 정기 예금 등을 통해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자산 비중은 25%로 설정합니다.

 

이런 방식을 통해서 영구 포트폴리오는 각 자산의 역할과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안정적이고 균형잡힌 투자 전략을 제공할 수 있으며, 투자자에게 포트폴리오 다변화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투자 전략입니다.

 

다양한 자산군의 조화로 안정적인 성과를 추가하고, 명확한 자산 비중 설정을 함으로써 운용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다양한 환경의 시장 조건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주식 시장이 상승장인 경우에는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불리한 점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시장 환경을 고려한 올웨더 포트폴리오도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ETF 이름  (1) 2024.02.27
ETF 선정 기준  (2) 2024.02.25
ETF 의 이해  (0) 2024.02.23
자산 클래스 (Asset Classes) 유형  (1) 2024.02.13
올웨더 포트폴리오(All Weather Portfolio) 이해  (0) 2024.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