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국내 ETF 이름

by 저녁햇살 2024. 2. 27.

 
ETF를 투자하기 위해서 먼저 어떤 ETF가 발행되어 있는지 알아야 하겠습니다.
그런데 막상 고르려고 보면 ETF가 너무 많아서 해당 ETF가 어떤 자산 Class에 해당하는 ETF 인지? 어떤 인덱스를 추종하는 ETF 인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ETF 이름에 대한 구성 요소와 규칙을 이해하면, 이러한 규칙을 통해 ETF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종류의 ETF가 있는지 검색 방법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ETF-종류
ETF-종류

ETF 상품명

ETF 상품명을 보면 어떤 자산 성격의 ETF인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상품명 자체를 ETF의 운용사와 함께 ETF에 관련된 지수, 자산 유형으로 이름짓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ETF 상품명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1)ETF 운용사(브랜드명) + 2)추종 인덱스, 전략, 자산 유형
 
1) 운용사 또는 브랜드명은 대부분 ETF 상품명 앞부분에 위치되어 있습니다. 각 운용사의 브랜드명 구분을 통해서 특정 운용사가 운용하는 ETF를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IGER로 시작하는 ETF는 미래에셋 자산운용 회사가 발행하여 운용하는 ETF입니다.
각 운용 회사별 브랜드명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ETF-브랜드
ETF-브랜드

 
2) 추종 인덱스는 해당 ETF가 어떤 지수나 테마를 추종하는지, ETF 브랜드 이름 다음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ETF 브랜드 다름에 나오는 명칭을 보고 ETF 투자 대상이나, 투자 전략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OSPI200 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ETF는 KOSPI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아래 표는 추가적인  ETF 상품명에 대한 설명 예시입니다.

ETF-상품명
ETF-상품명

 
추가로 자산에 대한 변동성을 높이기 위한 ETF인 경우, ETF 이름 끝에 추가적인 세부 정보가 포함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인버스, 레버리지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ETF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적은 자금으로 큰 레버리지 효과를 얻고 싶을 때 투자 자산으로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ETF 브랜드명과 추종하는 지수나 테마를 조합하여 ETF 상품명이 구성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ETF의 상품명을 통해서 자산 특성을 빠르게 파악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ETF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TF 종류

국내에 발행된 ETF의 종류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 간략히 분류해 보겠습니다.
 
O 국내 주식 ETF는 한국 내 주식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로 구성된 ETF로 KOSPI  지수 또는 KOSDAQ 지수와 연계되어 있습니다.
 
O 해외 주식 ETF는 해외 주식 시장의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EFT 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시장의 S&P500 지수나 NASDAQ 지수에 연계된 ETF가 있습니다.
 
O 채권 ETF는 특정 산업 섹터에 집중된 ETF입니다. 예를 들어 IT 기술, 반도체, 금융, 에너지 등 특정 산업 분야의 기업에 투자하는 ETF가 있습니다.
 
O 원자재 ETF는 원자재 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ETF로 금, 은, 원유, 철광석 등 다양한 원자재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ETF 종류 검색하기

투자하고자 하는 ETF를 미리 정해놓았다면 증권사 어플을 통해서 해당 ETF를 검색하면 간단하게 ETF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ETF가 발행되어 운용되고 있는지 모르는 투자자라면 국내에 발행되어 있는 ETF를 먼저 검색하고 나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ETF를 골라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국내에 발행된 ETF는 증권정보 포털 사이트(seibro.or.kr)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뉴는 아래 순서로 조회하면 됩니다.
 
ETF > 종목발행현황 > 조회
 

ETF-증권정보포털
ETF-증권정보포털

 
유형별, 운용사별, 순자산 규모, 보수 비용에 따라 ETF 를 비교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TF 상품을 선정하여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어떤 ETF를 골라야 하는는 본인만의 선정 기준에 관해서는 이전 글에 적어놓은 ETF 선정 기준을 참고 바랍니다.
 
https://happyliving.tistory.com/23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의 뜻과 종류  (0) 2024.03.11
해외(미국) ETF 종류  (2) 2024.03.05
ETF 선정 기준  (1) 2024.02.25
ETF 의 이해  (0) 2024.02.23
자산 클래스 (Asset Classes) 유형  (1) 2024.02.13